학습 내용
다양한 자료형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어떤식으로 활용 해야되는지 배웠습니다.
숫자형(Number) | int |
Bool형(True,False) | bool |
문자열(String) | str |
리스트(List) | list |
튜플(Tuple) | tuple |
딕셔너리(Dictionary) | dict |
집합(Sets) | set |
등등, 다양한 자료형이 있지만 실제로는 숫자형과 문자열, 리스트 정도 자주 사용되는것 같았다.
LIST 안에 자료 추가하기 (feat. append)
a = ["대소고"]
a.append("짱짱")
print(a)
출력 결과:
['대소고', '짱짱']
Python
복사
이런식으로 뒤에 짱짱이라는 자료를 추가하였습니다.
range를 이용하여 0~9 까지의 리스트 만들기
처음에는 0~9 까지 직접 하나하나 입력후 구현 하였지만 range를 배우고 더 편리 해졌다.
a = list(range(10) # 0 ~ 9 까지가 들어있는 리스트를 생성
print(a)
출력 결과:
[0, 1, 2, 3, 4, 5, 6, 7, 8, 9]
Python
복사
이런식으로 코드도 작아지고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튜플을 이해해보자!
아래 코드는 (1, 2, 3) 이라는 튜플을 만들고 안에 튜플안에 4를 추가해 (1,2,3,4)를 만들려고 ㅎ
a = (1,2,3)
a = a + (4,)
print(a)
출력결과:
(1,2,3,4)
Python
복사
딕셔너리 이해하기
dic = {'area':'대구', 'temp':23, 'tour':'팔공산'}
print(dic)
print(dic['area'])
출력결과:
{'area': '대구', 'temp': 23, 'tour': '팔공산'}
대구
Python
복사
이련식으로 딕셔너리는 숫자가 아닌 항목으로 불러올수도 있다.
항목은 “area”가 될것이고, 값은 “대구 입니다.
자료형의 특징
•
Literal 형 : 변경 불가한 단일 데이터
•
Container 형 : 여러가지 객체를 내부에 저장
•
Sequence 형 : 순서있는 복수 데이터 모음
•
Mapping 형 : 1대1 매핑한 복수 데이터 모음
번외 (파이썬 메모리 값에 관하여)
age = 17
print(id(age))
age = 18
print(id(age))
grup = [18, 19, 20]
print(id(grup))
grup[2] = 23
print(id(grup))
출력결과:
4369115952
4369115984
4394258368
4394258368
Python
복사
파이썬에서는 이미 있던 변수의 값을 변경 하면,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만들고 공간의 값을 지워버립니다.
•
그래서 같은 메모리 주소가 나온것 입니다.
어려웠던점
1~10 까지의 리스트는 어떻게 만들까?
a = list(range(10) # 0 ~ 9 까지가 들어있는 리스트를 생성
print(a)
출력 결과:
[0, 1, 2, 3, 4, 5, 6, 7, 8, 9]
Python
복사
이 코드에서 10을 입력해도 9까지만 나와서 1~10까지만 나오게 할려고 한다
해결 방법
1~10 까지의 리스트를 만들어 보았다!
a = list(range(1,11) # 1 ~ 10 까지가 들어있는 리스트를 생성
print(a)
출력 결과:
[1, 2, 3, 4, 5, 6, 7, 8, 9, 10]
Python
복사
시작을 1부터 시작하게 하고 10 에 1를 더해서
1~10까지 출력 되게 처리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