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명
Superfast
목적
기존 결제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높은 카드 수수료(3%)를 개선하고, XRPL 기반의 스테이블 코인을 통해 낮은 수수료로 빠르고 안전한 송금 및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주요 기능
저비용, 신속한 송금 및 결제 서비스.
2. 기존 시장의 문제점
문제점 1: 기존 결제 시스템의 높은 수수료와 긴 처리 시간으로 인한 비효율성
해결책 1: XRPL 기반의 스테이블 코인을 활용하여 매우 낮은 수수료로 빠르고 안전한 송금 및 결제를 가능하게 하며, 소상공인과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임.
문제점 2: Web3에 대한 기반 지식 부족으로 인한 유저들의 접근성 저하
해결책 2: 자사의 매커니즘을 통해 계좌(원화)에서 자신의 계정 지갑(XRP)으로 교환해주는 빠른 매커니즘을 도입하여 접근성을 향상시킴. 이로 인해 복잡한 Web3 지식이 없어도 손쉽게 디지털 자산을 이
용할 수 있음.
문제점 3: 결제 시스템 사용 시, 분산원장에 기록이 남기 때문에 다른 제3자가 개인 결제 기록을 모두 볼 수 있는 Privacy 문제
해결책 3: zk-STARK 혹은 zk-SNARK와 같은 최신 암호화 기술을 적용하여 거래 기록을 보호하고, 개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여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함.
4. 핵심 기능
4.1 송금 및 결제
•
저비용 송금: 사용자는 전 세계 어디서나 매우 낮은 수수료로 실시간 송금을 할 수 있다.
•
결제 시스템 통합: 가맹점뿐만 아니라, 일반 P2P 대상 거래 소비자는 Superfast를 통해 스테이블 코인으로 결제 및 송금을 할 수 있도록 지원.
1.
4.2 지갑 기능
•
디지털 지갑 통합: 사용자는 앱 내에서 스테이블 코인을 보관, 송금, 수령할 수 있다.
◦
ref
▪
https://github.com/XRPLF/XRPL-Standards/discussions/206 → browser wallet 연
4.3 실시간 통화 변환
•
기존 Web2 금융권과의 연결 : 동일 통화를 송금 및 이전하는 수준의 속도 및 난이도를 가지므로써 Web2 금융권과의 연결성을 유지한다.
•
Charge 프로세스:
◦
자사 유동성 풀을 생성하여, 유동성 풀의 전체 크기보다 더 큰 거래 금액 request 시 거래소에서 직접 구매
◦
자사 유동성 풀 충분시
1.
Charge Request
2.
유동성 풀에서 유저 지갑으로 해당 금액 만큼의 RLUSD 전송
◦
자사 유동성 풀 불 충분시
1.
Charge Request
2.
자사 은행 계좌로 Charge 금액만큼 입금 확인
3.
해당 계좌로 CEX or DEX 에서 RLUSD 구매
4.
거래소에서 유동성 풀로 RLUSD 전송
5.
유동성 풀에서 유저 지갑으로 해당 금액 만큼의 RLUSD 전송
•
Withdrawl 프로세스:
◦
자사 유동성 풀(지갑)을 생성하여, 유동성 풀의 전체 크기보다 더 큰 거래 금액 request 시 거래소에서 직접 판매 후 출금
◦
자사 유동성 풀 충분시
1.
Withdrawl Request
2.
자사 은행 계좌에서 유저 계좌로 해당 금액 만큼의 선택된 통화 전송
◦
자사 유동성 풀 불 충분시
1.
Withdrawl Request
2.
자사 유동성 풀(지갑)로 Withdrawl 금액만큼 RLUSD 입금 확인
3.
해당 유동성 풀로 CEX or DEX 에서 RLUSD 판매
4.
거래소에서 자사 은행 계좌로 선택된 통화 전송
5.
자사 은행 계좌에서 유저 계좌으로 해당 금액 만큼의 선택된 통화 전송
4.4 보안 및 인증
•
이중 인증(2FA): 사용자의 계정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이중 인증 시스템을 제공.
•
실시간 거래 알림: 모든 거래에 대해 실시간으로 알림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거래를 즉시 확인 가능.
5. 비즈니스 모델
5.1 수수료 구조
•
송금 수수료: 최소한의 송금 수수료 (예: 0.1%)를 적용하여 수익 창출.
5.2 광고 및 제휴
•
제휴 프로그램: 파트너사와의 제휴를 통해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
6. 마케팅 전략
7. 위험 요소 및 대응 전략
10.1 기술적 위험
•
리스크: 블록체인 기술의 복잡성과 안정성 문제.
•
대응: 지속적인 테스트와 보안 강화, 백업 시스템 도입.
10.2 시장적 위험
•
리스크: 사용자 채택 저조 및 경쟁 심화.
•
대응: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한 지속적인 개선과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